📌 시리즈 소개: 신장이식 후 4년 6개월간 기록한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진솔한 이야기입니다.
📊 만성콩팥병이란?
**만성콩팥병(CKD, Chronic Kidney Disease)**은 콩팥 기능이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질환입니다.
주요 원인
- 🩸 당뇨병: 전체 원인의 약 40-50%
- 💗 고혈압: 전체 원인의 약 25-30%
- 🧬 유전적 질환: 다낭성 신질환 등
- 💊 약물 부작용: 장기간 진통제 복용
- 🔬 기타: 사구체신염, 자가면역질환 등
🔍 만성콩팥병 5단계 분류
만성콩팥병은 **사구체여과율(eGFR)**에 따라 5단계로 나뉩니다.
단계 eGFR (mL/min/1.73m²) 상태 주요 증상 치료 목표
1단계 | ≥90 | 정상/경미한 감소 | 거의 없음 | 원인 치료, 예방 |
2단계 | 60-89 | 경도 감소 | 미미한 증상 | 진행 억제 |
3a단계 | 45-59 | 중등도 감소 | 피로, 부종 시작 | 합병증 예방 |
3b단계 | 30-44 | 중등도-고도 감소 | 증상 뚜렷해짐 | 신대체요법 준비 |
4단계 | 15-29 | 고도 감소 | 심각한 증상 | 투석/이식 준비 |
5단계 | <15 | 말기신부전 | 생명 위험 | 투석/이식 필요 |
💡 내 경험: 투석 시작 당시 eGFR이 10 이하였습니다. 5단계 말기신부전 상태였죠.
🚨 단계별 주요 증상
1-2단계: 조용한 진행기
🔸 특징: "조용한 살인자"라 불림
- 대부분 증상이 없음
- 정기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
- 소변 검사 이상(단백뇨, 혈뇨)
- 혈압 상승
⚠️ 조기 발견 포인트
- 소변 거품이 많아짐
- 새벽 부종 (눈꺼풀, 발목)
- 혈압 상승
-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정기 검진
3단계: 증상 시작기
🔸 3a단계 (eGFR 45-59)
- 가벼운 피로감
- 식욕 부진
- 수면 장애
- 경미한 부종
🔸 3b단계 (eGFR 30-44)
- 숨쉬기 어려움 (운동 시)
- 소변량 변화
- 혈압 조절 어려움
- 빈혈 시작
💭 내 경험: 3단계 때는 "단순 피로"로 생각했습니다. 당뇨 관리에만 집중하고 신장은 놓쳤어요.
4단계: 준비기
🔸 주요 증상
- 심한 피로와 무기력
- 식욕 저하, 구토
- 근육 경련, 가려움
- 수면 장애 악화
- 집중력 저하
🔸 치료 준비
- 투석 혈관 접근로 수술
- 이식 평가 시작
- 영양 관리 강화
- 합병증 치료
5단계: 말기신부전
🔸 생명 위험 증상
- 호흡 곤란 (폐부종)
- 심한 구토, 식욕 부진
- 의식 저하
- 심장 부정맥
- 경련 발작
🔸 응급 투석 필요
- 즉시 혈액투석 시작
- 생명 유지를 위한 치료
- 이식 대기 또는 지속적 투석
💊 단계별 치료법
1-2단계: 예방 중심 치료
🎯 치료 목표: 진행 억제, 원인 질환 관리
주요 치료법
- 혈압 관리
- 목표: 130/80 mmHg 미만
- ACE 억제제 또는 ARB 계열 약물
- 나트륨 제한 (하루 2g 미만)
- 혈당 조절 (당뇨병 환자)
- 목표: 당화혈색소 7% 미만
- 신장 안전 약물 선택
- 정기적 혈당 모니터링
- 생활습관 개선
- 금연, 금주
- 적정 체중 유지
- 규칙적 운동 (주 3-4회, 30분)
3단계: 합병증 예방 치료
🎯 치료 목표: 합병증 예방, 삶의 질 유지
추가 치료
- 빈혈 관리
- 철분 보충
- 필요시 조혈제 (EPO) 투여
- 목표: 헤모글로빈 10-12 g/dL
- 골 질환 예방
- 인 제한 식이
- 칼슘, 비타민 D 보충
- 정기적 골밀도 검사
- 심혈관 질환 예방
- 콜레스테롤 관리 (스타틴 약물)
- 저염식, 저지방식
- 규칙적 심전도 검사
4-5단계: 신대체요법 준비
🎯 치료 목표: 투석/이식 준비, 생명 유지
신대체요법 선택
치료법 장점 단점 적용 대상
혈액투석 | 효율적 노폐물 제거 | 주 3회 병원 방문 | 대부분의 환자 |
복막투석 | 자택에서 시행 가능 | 복막염 위험 | 젊은 환자, 직장인 |
신장이식 | 최고의 치료 결과 | 수술 위험, 면역억제제 | 건강한 환자 |
🏥 내가 겪은 치료 과정
3단계 → 4단계 (진행 억제 실패)
2017-2018년 경험
- 당뇨 관리에만 집중
- 신장 기능 모니터링 부족
- 혈압 관리 소홀
- 결과: 급속한 진행으로 4단계 진입
4단계 → 5단계 (6개월 만에 급변)
2018년 하반기
- 일반 요법으로 6개월 시도
- 식이요법, 약물치료 병행
- 실패 원인: 너무 늦은 발견
- 결과: 응급실 입원, 즉시 투석 시작
투석 3년 → 이식 (2019-2022)
투석 기간 관리
- 주 3회 혈액투석 (4시간/회)
- 수분 제한, 인 제한 식이
- 정기적 검사 및 약물 조절
- 이식 결정: 삶의 질 개선 목표
💡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
필수 검사 항목
- 혈액 검사
- 크레아티닌, eGFR
- 요소질소(BUN)
- 전해질 (나트륨, 칼륨, 인)
- 소변 검사
- 단백뇨 (알부민/크레아티닌 비율)
- 현미경적 혈뇨
- 소변 침사 검사
- 영상 검사
- 신장 초음파
- 필요시 CT, MRI
검사 주기
- 고위험군: 6개월마다
- 일반인: 연 1회
- 당뇨/고혈압 환자: 3-6개월마다
🚨 응급 상황 대처법
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한 증상
- 💧 소변량 급격히 감소 (하루 400ml 미만)
- 🫁 심한 호흡곤란 (누워있기 어려움)
- 🤢 지속적인 구토 (음식 섭취 불가)
- 💓 가슴 두근거림 (부정맥 의심)
- 🧠 의식 저하 (혼돈, 경련)
응급처치
- 수분 섭취 중단
- 염분 제한
- 안정 취하기
- 즉시 응급실 내원
🔜 다음 편 예고
4편: "투석 생활 3년, 그 진실한 이야기"
실제 투석 생활을 상세히 공개합니다.
- 주 3회 투석의 하루 일과
- 투석 중 겪은 어려움들
- 식이 제한과 수분 관리
- 투석실에서 만난 사람들
- 투석 vs 이식, 선택의 기로
"투석이 정말 그렇게 힘들까?"
📌 시리즈 안내
이 글은 개인 경험담입니다. 의학적 조언은 반드시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.
관련 전문과
- 신장내과 (내과)
- 비뇨의학과 (수술)
- 이식외과
💬 소통해요!
댓글로 나눠주세요
- 현재 어느 단계이신가요?
- 조기 발견 경험이 있으시다면?
- 궁금한 점이나 응원의 메시지
🏷️ 태그: #만성콩팥병 #신장질환 #eGFR #투석 #신장이식 #당뇨합병증 #고혈압 #조기발견 #신장내과 #건강관리 #만성질환 #의료정보 #환자경험담 #신부전 #혈액투석 #복막투석 #신대체요법 #합병증예방 #정기검진 #건강검진
⚠️ 면책조항: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입니다. 의학적 조언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.
📝 다음 편은 업데이트됩니다. 구독과 공감 부탁드려요!